
|
학과 소개 |
모든 산업의 원동력이 되는 전기의 발전에서 송․배전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이론 지식과 실험․실습을 바탕으로 하는 전기분야 전문기능인력 및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다양한 기반 기술(스마트팩토리 생산공정, 센서제어, 자동제어, 로봇제작 및 제어), IOT기반 자동화 시스템, 로봇 구동 및 운용 등에 대한 IT융합 기술 교육을 실시하여 미래 제조 현장의 변화에 대비한 ‘창의융합기술 인재’를
양성하는 데 노력하고 있는 학과이다. |
|
교육 목표 |
1. 바른 인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갖춘 현장실무에 적합한 창의융합기술 인재 양성 |
2. 전기관련 기본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한 전력 수급 및 전기공사 전문기능 인력 양성 |
3. 스마트팩토리 운영 및 요소기술 등의 습득을 통해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스마트 제조 전문기능인력 양성 |
|
교육 내용 |
산업환경의 변화에 맞춘 전기공사 및 설비 관련분야와 스마트 제조 분야로의 전문기능인력 양성을 위한 학과 내 코스제 운영 |
주요 교과목 : 전기회로, 전자회로, 프로그래밍, 전기․전자기초, 기초제도(3D 모델링 포함), 전기기기, 기계일반, 내선공사, 자동제어시스템 운영, 자동제어기기 제작, 로봇 하드웨어 설계, 로봇 소프트웨어 개발, 전기설비 운영, 스마트팩토리 일반, 전기전자제어 실무 |
|
취득 자격증 |
전기기능사, 신재생에너지기능사, 승강기기능사, 생산자동화기능사, 전자기기기능사 등 |
|
졸업 후 진로 가능 분야 |
1. 공공분야 : 공무원(전기직), 한국전력공사, 한국동서발전, 한국서부발전, 한국중부발전, 한국남동발전 등의 공기업 |
2. 민간분야 :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전기 관련직, 공장자동화시스템의 운용 분야, 산업설비 분야, 기계 및 전자 관련 기업, 반도체 장비 제조 기업, 기타 제조업 등 |
3. 진학 : 재직자 특별전형, 조기취업형, 일학습병행제, 정시․수시 활용 |
|
전공동아리 |
1. 지능형로봇영재반 – 피지컬 컴퓨팅 플랫폼을 활용하여 프로그래밍 기반의 로봇을 설계 및 제작하고, 주어진 과제들을 분석 및 문제해결을 위한 알고리즘을 설계하고, 그에 따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로봇을 구동시키는 활동을 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을 위한 특화 동아리 |
|
|
※ 수상실적 – 2020년 경기도기능경기대회 지능형로봇직종 금․은메달 수상 |
|
2. 자동제어시스템 운영반 - PLC 제어 심화동아리 |
|
|
|
3. Solid-E반 - 3D 모델링 심화동아리 |
|
|
|
4. 내선공사 연구반 – 시퀀스제어 및 전기공사 심화동아리 |
|
|
|
교육활동 실적 |
1. 공무원(2014 ~ 현재) |
 |
 |
 |
 |
국가직 : 1명 |
경기도공무원 : 9명 |
경기도교육청 : 4명 |
서울시공무원 : 1명 |
|
2. 공기업(2012 ~ 현재) |
 |
 |
 |
 |
한국전력공사 : 9명 |
한국동서발전 : 1명 |
한국서부발전 : 1명 |
한국중부발전 : 1명 |
 |
 |
 |
 |
한국남동발전 : 1명 |
서울시설공단 : 5명 |
시흥시시설관리공단 : 1명 |
한국철도공사 : 2명 |
 |
 |
 |
 |
한국수자원공사 : 3명 |
한국담배인삼공사 : 3명 |
한국도로공사 : 1명 |
한국토지주택공사 : 1명 |
 |
 |
한국가스공사 : 1명 |
한국농어촌공사 : 1명 |
|
3. 대기업 및 중소기업 |
가. 대기업 |
 |
 |
 |
 |
삼성전자 : 24명 |
삼성코닝정밀소재 : 1명 |
현대중공업 : 1명 |
SK텔레시스 : 1명 |
 |
 |
 |
 |
한화 S&C : 1명 |
한화에너지 : 1명 |
삼화콘덴서 : 1명 |
신도리코 : 1명 |
|
나. 중소기업(중소벤처기업부 특성화고 인력 양성 사업 참여 기업 외 다수) |
2020년 참여 기업 |
 |
 |
 |
 |
㈜다온이엔지 |
㈜우성오토콘 |
㈜콤프코리아 |
㈜디아이씨 |
 |
 |
 |
 |
![]() |
㈜에스엔에프 |
㈜협심 |
㈜케이탑시스템 |
비씨에스텍㈜ |
|